- Published on
프로그래머 기초 수학 1-1 - 명제와 논리연산
- Author
- Name
- yceffort
Table of Contents
명제
명제란 참인지 거짓인지 판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식을 말한다.
- 달은 지구의 위성이다 (참)
- 고래는 어류다 (거짓)
- (참)
- ( 값이 정해지지 않아 알수 없다. 이는 명제다 가이다.)
논리연산
이러한 명제에도 기본적인 연산이 존재한다. 명제는 진리값을 다루므로 그에 대한 연산은 논리적인 성질을 띄고, 이러한 논리연산을 명제에 적용하면 그 결과 새로운 명제가 만들어진다.
논리연산 | 기호 | 뜻 |
---|---|---|
논리합(OR) | ∨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명제가 참인가 |
논리곱(AND) | ∧ | 주어진 모든 명제가 참인가? |
부정(NOT) | ¬ | 원래 명제의 참과 거짓을 뒤바꾼다. |
배타적 논리합(XOR) | ⊕ | 둘중하나만 참인가? |
논리연산의 결과를 표 형태로 쉽게 나타낸 것을 진리표라고 한다.
와 같이 항상 참인 명제를 항진명제라고 하고, 처럼 항상 거짓인 명제는 모순명제라고 한다.
만약 명제를 연산한 결과에 부정연산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위 연산은 p나 q 둘중 하나라도 참이면
의 결과가 참이니, OR을 부정했다면 그 반대로 p와 q 둘중 어떤 것도 참이 아니라면
연산의 결과가 될 것이다.
이 처럼 같은 진리값을 갖는 두가지 명제를 동치라고 하고, 기호로는 라고 한다.
위에서 언급했던 식은 이렇게 쓸 수 있다.
이러한 동치관계는 드모르간의 법칙 이라고 한다.
논리합은 논리곱과 부정기호로, 논리곱은 논리합과 부정기호로 표현할 수 있음을 가리키는 법칙이다. (킹무위키)
not(A or B)=(not A) and (not B)
not(A and B)=(not A) or (not B)
논리합은 덧셈과, 논리곱은 곱셈과 유사한면이 있고, 진리값 T, F는 각각 1, 0 의 성질을 갖는다. 그러나 진리값이 숫자는 아니므로 엄연히 차이가 있다.
숫자와는 다르게 자기 자신의 논리합과 논리곱은 자신으로 돌아온다.
교환법칙도 적용된다.
결합법칙 역시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분배법칙은 수학과 약간 다르다.
배타적 논리합
이 연산은 둘 중 어느 한쪽만 참일 때만 참이다. 순서는 상관없다. 따라서 교환법칙이 적용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결합법칙도 적용된다.
그리고 배타적 논리합은 아래와 같이 특이현 결과를 낳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명제에서 다른 명제를 두번 연달아 XOR 하면 다시 원래의 연산으로 돌아온다.
이를 증명해보자.
이게 코드에서 무슨 소용이 있냐고?
다음과 같은 조건문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var question = (!cond1 || cond2) && !(cond1 && cond2)
이는 조건문을 파악하기 어렵고 까다롭게 만든다. 논리연산으로 잘 만들어보자.
이를 드모르간의 법칙과 분배법칙을 활용해보자.
와! 결국 위 코드는 이것과 같았다.
var question = !cond1